일이 갈수록 커지는데요. by 사자 먹는 토끼
LGU+의 스마트폰 요금폭탄 247만원 이야기를 다음 아고라에서 보게 되었는데, 처음엔 보고서 식겁했었다는.... 그도 그럴게, 저희 부모님께서 새로 장만하신 휴대폰 두 개도 LG U+에다가 자유요금제라서 말이지요. 저는 SK텔레콤 그대로 또는 KT로라도 갈아타시길 원했는데, 공짜폰이라 싸다는 이유로 장기고객 혜택을 버리면서까지 유플러스로 번호이동하셨죠.(먼산)
그 이유가 제가 아이폰4S+54요금제(3G 무제한)으로 신나게 맛폰질을 하니까, 저희 부모님도 그게 부러우셨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정작 문제는 그 두 개가 하필 정액제 약정도 아닌 자유요금제에 유플러스라서, 요금폭탄이 터질까봐 전전긍긍하던제가 휴대폰설정에서 3G를 차단시켜버리고 와이파이로만 되도록 세팅해놓았습니다. 그래도 혹시나 소프트웨어 오류로 풀려서 요금폭탄이 나올까봐 전전긍긍합니다. ㅠㅠ
그리고 다음 아고라의 그 사건은.... 제가 보아하니 247만원이라는 스마트한(?) 요금폭탄을 선사받으신 이용자하고 통신사 양쪽 모두 병크를 터뜨린 것으로 판단됩니다. 저런 일이 생기지 않도록 제도적 안전장치를 충분히 갖추지 않고 고객확보에만 치중한 통신사도 분명히 문제가 있고, 거기다 데이터를 많이 쓸 수 밖에 없는 스마트폰의 특성에 대한 기본지식도 없이 무작정 가입해 베트남신부에게 던져준 이용자 쪽은 더 심각한 문제입니다.
이렇게 되면 예방책으로서 스마트폰에 한해 자유요금제를 폐지하고 전고객 모두 연령과 사용조건에 맞는 정액제를 의무적으로 가입하도록 강제화하는 것과, 데이터요금 부과의 위험성에 대한 설명할 의무를 통신사와 대리점 모두에 강제화시키는 법적 · 제도적 안전장치가 필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정액요금제를 감당하지 못할 정도의 소득수준이 미달인 고객한테 스마트폰을 사용하게 하는 것을 법적으로 금지하는 것도 생각해볼 수 있겠지만 현실적이지도 않고 비판도 많을테니 무리겠죠.(...)
하여튼 저희 부모님한테는 이번의 사건을 계기로 자유요금제보다는 좀더 비싸지만 기본적인 데이터는 제공하는 정액제에 가입하시는 것을 권해볼 생각입니다. 물론 두 분 모두 스마트폰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분인데다 경제적인 이유도 있어서 큰 기대는 하기 어렵습니다만... "월요금이 더 비싸잖아"라는 이유로 기각을 당하지나 않으면 천만다행이죠.(먼산)
LGU+의 스마트폰 요금폭탄 247만원 이야기를 다음 아고라에서 보게 되었는데, 처음엔 보고서 식겁했었다는.... 그도 그럴게, 저희 부모님께서 새로 장만하신 휴대폰 두 개도 LG U+에다가 자유요금제라서 말이지요. 저는 SK텔레콤 그대로 또는 KT로라도 갈아타시길 원했는데, 공짜폰이라 싸다는 이유로 장기고객 혜택을 버리면서까지 유플러스로 번호이동하셨죠.(먼산)
그 이유가 제가 아이폰4S+54요금제(3G 무제한)으로 신나게 맛폰질을 하니까, 저희 부모님도 그게 부러우셨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정작 문제는 그 두 개가 하필 정액제 약정도 아닌 자유요금제에 유플러스라서, 요금폭탄이 터질까봐 전전긍긍하던제가 휴대폰설정에서 3G를 차단시켜버리고 와이파이로만 되도록 세팅해놓았습니다. 그래도 혹시나 소프트웨어 오류로 풀려서 요금폭탄이 나올까봐 전전긍긍합니다. ㅠㅠ
그리고 다음 아고라의 그 사건은.... 제가 보아하니 247만원이라는 스마트한(?) 요금폭탄을 선사받으신 이용자하고 통신사 양쪽 모두 병크를 터뜨린 것으로 판단됩니다. 저런 일이 생기지 않도록 제도적 안전장치를 충분히 갖추지 않고 고객확보에만 치중한 통신사도 분명히 문제가 있고, 거기다 데이터를 많이 쓸 수 밖에 없는 스마트폰의 특성에 대한 기본지식도 없이 무작정 가입해 베트남신부에게 던져준 이용자 쪽은 더 심각한 문제입니다.
이렇게 되면 예방책으로서 스마트폰에 한해 자유요금제를 폐지하고 전고객 모두 연령과 사용조건에 맞는 정액제를 의무적으로 가입하도록 강제화하는 것과, 데이터요금 부과의 위험성에 대한 설명할 의무를 통신사와 대리점 모두에 강제화시키는 법적 · 제도적 안전장치가 필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정액요금제를 감당하지 못할 정도의 소득수준이 미달인 고객한테 스마트폰을 사용하게 하는 것을 법적으로 금지하는 것도 생각해볼 수 있겠지만 현실적이지도 않고 비판도 많을테니 무리겠죠.(...)
하여튼 저희 부모님한테는 이번의 사건을 계기로 자유요금제보다는 좀더 비싸지만 기본적인 데이터는 제공하는 정액제에 가입하시는 것을 권해볼 생각입니다. 물론 두 분 모두 스마트폰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분인데다 경제적인 이유도 있어서 큰 기대는 하기 어렵습니다만... "월요금이 더 비싸잖아"라는 이유로 기각을 당하지나 않으면 천만다행이죠.(먼산)
덧글
데이터 과금에 대한 정책은 필요하긴 하지만;;
저 사람의 경우에는 부주의로 생긴 일로 개인책임이라는 생각이 더 드네요
- 스마트폰 쓰면서 요자를 원하는 고객들이 없는것도 아니기에 아마 역반응이 일껍니다.
(와이파이 있는 대역에만 쓰면 굳이 데이터 용량이 필요하지 않으니까요)
게다가 이네들은 정보를 알기때문에 선택하는 양반들이라 반발 작용이 더 클꺼구요.
그리고 보통 대리점에서 가입할때 데이터요금에 대한 위험 자체는 언급을 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스마트폰 요금제를 추천하죠. 근데 고객이 '아 됐고 그냥 나 쓰던거 싼걸로!' 하면 고객 이길수는 없어서-_-;
말씀하신 것보단 이용요금이 백만원정도 넘어가면 고객관리 차원에서 전화를 해주는게 좋을 듯 합니다...
분명히 3차에 걸쳐서(그것도 3차고지는 문자메시지를 통해 수차례!!) 경고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눈감고 귀막고 나는 그런거에 관심 없기 때문에 설명해줘도 모름, 그런데 들어보니 다른 회사는 다 15만원인데 왜 너네만 받아먹으려고 함? LG OUT!! 이라는 식으로 나오는 건 좀 -_-... 휴가철에 깜빡하고 집 에어컨 풀가동 시켜놓고 가서 전기요금이 많이 나왔는데 거기서 "난 모르고 틀어놓고 간 거니 이건 낼 수 없다!"라고 하면 먹히던가요. 말도 안되는 소리죠.
못해도 10차례는 넘게 경고가 왔을텐데 그 남편은 뭐했던 건지 모르겠습니다.
녹취록은 최악의 수 였습니다.
부모님께는 잘 말씀드릴수 밖에 없습니다.
라고 아버지와의 소통과 이해를 포기한 1ㅅ이 말합니다.
3G로 50메가쓰고 25000원 추가 요금 감사요